악성코드 검사, Misc.HackTool.KMSActivator 는 무엇일까?

오늘은 악성코드 검사에서 Misc.HackTool.KMSActivator 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 보안을 위해 여러 보안 프로그램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윈도우의 방화벽과 함께, 안랩의 V3 Lite나 알약과 같은 백신 프로그램들이 인기가 많은데요.

이러한 보안 프로그램들은 내 컴퓨터의 다양한 바이러스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속도가 점차 저하될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 속도가 저하되지 않았는지 생각을 해보곤 하는데요.

그럴 때마다 보안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 하거나 정밀 검사를 통해 악성코드 검사를 진행하는 편입니다.

알약에서는 KMSActivator라고 불리는 특정 바이러스로 감지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백신 프로그램에 의해 감지되어 제거하더라도 다시 생겨나는 프로그램인 만큼 Misc.HackTool.KMSActivator 가 어떤 프로그램인지 본문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악성코드 검사 썸네일

악성코드 검사 Misc.HackTool.KMSActivator

알약 백신 프로그램의 실시간 감시 기능은 사용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보안 조치라 할 수 있습니다.

알약 보안 프로그램

컴퓨터 사용 시 실시간 감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종종 악성코드 검사 목록에 ‘Misc.HackTool.KMSActivator’라는 악성코드 탐지 알림이 뜰 때가 있습니다.

악성코드 탐지 알림을 보게 되면 즉시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왜 악성코드가 감지되었는지 확인을 하려고 검색을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요.

Misc.HackTool 시리즈는 다양한 버전이 있는데, 그 중 KMSActivator는 주로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 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만큼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했을 경우 악성코드 탐지 알림이 뜨게 됩니다.

즉, 윈도우 정품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자주 탐지 되는 악성코드로 볼 수 있습니다.


Misc.HackTool.KMSActivator 문제 해결하기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하여 윈도우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알약 백신 프로그램의 정밀 검사를 진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악성코드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알약 정밀검사

먼저,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하는 사용자의 경우 악성코드 검사를 통해 상세 정보에서 Misc.HackTool.KMSActivator 프로그램이 발견되었다 하더라도 이 프로그램은 치료를 하면 안됩니다.

이는 Misc.HackTool.KMSActivator를 치료하게 되면 더 이상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알약이나 V3와 같은 보안 프로그램에서는 Misc.HackTool.KMSactivator를 악성코드로 인지 하지만 실질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여 지속적으로 팝업 알림이 뜨면 신경이 쓰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문제인데요.

이러한 팝업 알림을 더 이상 신경 쓰고 싶지 않다면 사용중인 보안 프로그램에서 검색 제외 기능을 사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악성코드 검사 제외 설정하기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하여 사용하시는 분들이 실수로 악성코드 검사 후 치료하기를 눌러 삭제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검색 제외 설정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탐지된 악성코드를 제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악성코드 검사 검색 제외하기

탐지된 악성코드 마우스 우클릭 – 제외하기 – 제외 설정 추가하기

악성코드 검사 제외 설정 추가

마치며

이상으로 알약 악성코드 검사에서 탐지되는 Misc.HackTool.KMSActivor이 무엇인지 그리고 검색 제외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윈도우 보안상 악성코드 제외 설정은 비록 좋은 방법이 아니지만 윈도우 정품 인증 툴을 설치한 사용자가 계속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Misc.HackTool.KMSActivator 탐지 알림이 뜨더라도 치료하지 않고 방치를 하거나 검색 제외 설정을 하고 아예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는 보안상 큰 취약점이 될 수 있는 만큼 보안이 걱정되는 분들은 윈도우를 재설치 하고 정품으로 인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참고